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퇴직금 계산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 하려고 합니다 요새 많은 분들이 취업을 준비 하고 취업에 성공을 하기도 하는데요 그러다가 근속연수가 올라 가게 되어서 1년이 이상 근로확인이 되면 퇴직금을 지급 받을 수 있는 자격조건이 생기게 됩니다
1년이 아니더라도 2년,5년,10년 이상이 되고 나서 회사를 이직 하고 싶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퇴직을 하시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전에 내 퇴직금이 얼마인지 퇴직금 계산방법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계실텐데요 오늘 그래서 쉽게 하는 방법을 알려 드릴려고 합니다 그럼 지금 부터 시작 하도록 하겠습니다
퇴직금 계산방법을 하기 위해서 검색포털 사이트에 고용노동부라고 검색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사이트에 들어 가시게 되면 상단 검색창에 퇴직금 이라고 입력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입력을 하고 검색버튼을 눌러 주시면 되겠습니다
고용노동부 사이트는 근로자 뿐만 아니라 사업자 분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하고 있으니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검색을 하시게 되면 위와 같이 나의 퇴직금 계산해 보기 메뉴가 있습니다 그 부분을 클릭해서 들어 가시면 되겠습니다
위와 같이 퇴직금 계산하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위 화면처럼 입사일자,퇴직일자 부분에 설정을 하시고 오른쪽 평균임금계산을 클릭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오른쪽 퇴직금 계산 예제가 있으니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기본급 부분에 내가 받은 월급을 넣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래 평균임금계산을 클릭 하시면 위와 같이 퇴직금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방법은 1일 평균임금 * 30 * (총근무일수/365) 산정 되는 것을 확인 할수가 있습니다